라벨이 부동산 리스크인 게시물 표시

기후 위기 부동산 리스크, 진짜 피해는 어디서 시작됐나

이미지
'집은 있는데 보험이 안 됩니다.' 플로리다의 어느 주민이 보험사에서 들은 말입니다. 2024년 미국 플로리다 마이애미 지역. 폭우가 몇 차례 이어진 뒤, 한 주택 소유자가 재가입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습니다. 기후 리스크 지역으로 분류되었기 때문 입니다. 이것은 단순한 사례가 아닙니다. 호주 브리즈번에서는 2035년까지 전체 주택의 10% 이상이 보험 가입 불가 지역이 될 것 이라는 경고가 나왔고, 영국 캠브리지 근처 고지대 점토지반은 지반 침하 위험 증가 로 인해 보험료가 폭등하고 있으며, 스위스 알프스는 봄철 눈녹음 현상으로 토사 붕괴 피해가 현실화 되었습니다. 세계 곳곳에서 ‘보험이 안 되는 동네’, ‘집을 팔아도 살 수 없는 곳’ 이 생기고 있습니다. 이제 집값보다 ‘기후 리스크를 피한 동네냐’가 더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 입니다. ◾️한국은 괜찮을까요? 우리는 아직 본격적인 충격을 경험하지 않았을까요? 2022년 서울 동작구, 구로구, 인천 부평구 일대의 집중호우 침수 사태 를 떠올려보세요. 복구 비용은 수천억 원에 달했고, 피해가 반복된 지역에서는  풍수해보험 가입 심사 조건이 까다로워졌습니다. 일부 부동산 투자자는 '이 동네는 당분간 거래 어렵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기후 위기는 더 이상 환경 문제가 아닙니다. 부동산 가치 하락, 보험료 상승, 주거 리스크 상승 등 복합적 충격 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내가 사는 곳, 혹은 이사하려는 곳은 안전할까요?' 이 글에서는 내 자산, 내 가족, 내 집값에 영향을 주는 리스크를 어떻게 파악하고 피할 것인지 를 중심으로 알아보겠습니다. 기후 위기가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내 지역은 기후 리스크 지역인지, 확인하는 법은 무엇인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주택 선택 기준은 무엇인지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실천 항목은 무엇인지 마지막엔 보험료나 대출 조건에까지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