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립 등 단기 민간 임대 혜택 신청하려면? 6년 의무 임대 조건부터 확인하세요

비(非) 아파트 민간 임대? '민간 임대'라는 말을 들으면 왠지 낯설고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어요. 하지만 쉽게 말하면 공공기관이 아닌 민간 건설사나 개인이 임대를 목적으로 공급하는 주택 을 의미해요. 이와 달리 공공임대는 LH 같은 정부 기관이 공급하고, 임대료가 상대적으로 저렴 한 것이 특징이죠. 최근에는 민간임대 중에서도 ‘장기임대’ 또는 ‘분양전환형 임대’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었고, 정부도 규제와 혜택을 조정하며 다시 단기 민간임대 도 주목되고 있습니다. ◾️비아파트 6년 단기 민간 임대란? 제도 핵심 요약 2025년 6월부터 정부는 비아파트 주택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단기 민간임대 등록 제도를 시행했습니다. 특히 연립, 다세대, 오피스텔 등 아파트가 아닌 주택 만을 대상으로 하며, 6년간 임대 의무 를 전제로 세제 혜택 과 함께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면 임대사업 등록이 가능한 구조예요. 주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대의무기간 : 6년 주택 요건 : 전용면적 85㎡ 이하, 보증금 보증 가입 필수 세제 혜택 : 재산세 감면,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 등 임차인 보호 조치 : 임대료 인상률 제한, 표준계약서 사용 권장 이 제도는 전세사기나 공급 불균형 우려 를 반영해 비아파트 주택 임대업자에게 제도적 인센티비를 제공하는 구조 로 설계되었습니다. 비(非)아파트 6년 단기등록임대 제도 정부 보도자료 보기! ◾️공공 vs 비아파트 vs 분양전환형 구분 공급 주체 적용 대상 임대 기간 입주 조건 특징 공공임대 정부·LH 국민임대, 행복주택 등 30년 이상 무주택자 + 소득 요건 임대료 저렴, 입주 경쟁 높음 비아파트 단기임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