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충전 중 전류가 흐른다고? 전자파 민감증과 누설 전류 오해 풀기

1. 스마트폰 충전 중 사용, 위험 경고 영상 당신도 본 적 있나요? 충전 중인 스마트폰을 검전기로 대보자 불이 켜집니다. '어? 전기가 흐르네?' '전자파가 더 많이 나오겠지…?' 영상 플랫폼에서 종종 보이는 이 장면은 많은 사람들에게 일종의 불안감과 호기심 을 동시에 안깁니다. 하지만, 과연 이 영상이 말하고자 하는 ‘위험’은 과학적으로 근거가 있을까요? 혹시 단순한 오해는 아닐까요? 지금부터 하나씩 풀어봅니다. 2. 검전기에서 불이 켜졌다면, 그건 위험하다는 뜻일까? 영상에서 사용된 검전기는 비접촉식 전류 감지기 로, 매우 낮은 전압이나 정전기, 유도 전류에도 반응 할 수 있습니다. 즉, 검전기 불이 켜졌다는 것은 스마트폰 외부 프레임에 전류가 실제로 흐른다 기보다, 충전 중 생기는 전자기장 또는 누설 전류가 표면에 존재한다 는 의미에 가깝습니다. → 불빛이 들어와도 위험한 건 아닙니다. 왜 그럴까요? 검전기는 정전기나 전자기 유도에도 반응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는 전류가 흘러서 위험한 상황이 아니라, 표면에 ‘전위차’가 생긴 것을 감지하는 정도 입니다. 즉, '검전기 반응 = 감전 위험'은 아닙니다. 실제 감전은 인체 내부로 전류가 흘러야만 발생 합니다. ▶ 누설 전류? 정전 유도? 무슨 차이일까? 누설 전류: 충전기 내부 절연이 불완전해 전류가 외부로 새는 것 정전 유도: 충전기에서 발생한 전자기장이 금속 케이스에 전하를 유도한 것 (정전기처럼) 대부분의 검전기 반응은 ‘정전 유도’나 ‘전위차’로 인한 것으로, 실제 감전이 발생할 만큼의 전류가 흐른다는 뜻은 아닙니다. 3. 그렇다면 감전 위험은 없는 걸까?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감전 가능성이 낮지만, 일부 조건에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 감전 위험이 커질 수 있는 상황 조건 설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