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코인정보인 게시물 표시

스테이블코인, 도대체 뭐길래 미국은 통과하고 한국은 망설일까?

이미지
'스테이블코인? 뉴스에서 많이 들리는데… 그냥 코인 아닌가?' 미국 상원이 어떤 ‘스테이블코인 법안’을 통과시켰다고 하고, 며칠 뒤에는 한국은행 총재가 “원화 스테이블코인도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대체 이게 뭔데 다들 이렇게 난리일까요? 솔직히 ‘스테이블코인’이라는 말만 들으면 잘 모르겠어요.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랑 같은 건지, 돈이 되는 건지, 나라가 왜 나서서 통제하려는 건지도 모호하죠. 그런데 지금이야말로 이 개념을 한 번 제대로 이해해둘 때입니다. 스테이블코인, 왜 이렇게 중요하게 여겨질까? ▶ '스테이블코인'은 쉽게 말해 ‘가격이 안 흔들리는 코인’입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처럼 가격이 하루에도 몇 번씩 크게 오르내리는 암호화폐는 일상 결제에 쓰기 어렵죠. 그런데 스테이블코인은 달러나 원화처럼 ‘가치가 고정된 디지털 자산’ 입니다. 예를 들어, 1개의 USDC는 항상 1달러와 같도록 1:1로 연동(Peg) 되어 있습니다. 이를 위해 발행사는 달러나 단기 국채 등을 담보로 보관합니다. 그래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디지털 현금'처럼 쓸 수 있죠. 💡 요약: 스테이블코인은 가치가 안정적이고 결제·송금·앱 내 거래에 실용적이며 블록체인 위에서 실시간 전송되는 새로운 디지털 화폐입니다. 👉 참고로 ‘USDC’나 ‘USDT’가 궁금하시다면, 추후 정리한 비교 글도 함께 확인해보세요. 미국은 왜 ‘GENIUS 법안’까지 통과시켰을까? 2025년 6월 17일, 미국 상원은 역사적인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름은 GENIUS Act (Guiding and Establishing National Innovation for U.S. Stablecoins Act). 찬성 68표, 반대 30표라는 압도적 지지로 통과 됐죠. 이 법안은 스테이블코인을 다음과 같이 규제합니다. 자산 1:1 완전 담보 의무 발행사의 월간 준비금 공개 시가총액 500억 달러 이상 발행사 → 연례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