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청약 가점제, 계산기 없이도 쉽게 따져보는 방법

"청약 넣으라고 하는데, 내가 점수가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어요."
"가점제? 뭐가 뭔지도 모르겠어요..."

많은 분들이 주택청약에 관심을 갖고 있지만, 정작 '가점제'가 뭔지, 어떻게 계산하는 건지 막막해하곤 합니다. 계산기를 사용해도 숫자만 보이면 머리가 아프고, 조건이 복잡하게 느껴지죠.

오늘은 그런 분들을 위해 '청약 가점제'를 정말 쉽게 이해하고, 계산기 없이도 대략적인 점수를 따져볼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주택청약 가점제, 계산기 없이도 쉽게 따져보는 방법


주택청약 가점제란 무엇인가요?

청약 가점제는 민영주택 청약 시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주로 전용면적 85㎡ 이하 민영주택(수도권 외 지역은 100㎡ 이하) 청약 시 적용되며, 총 84점 만점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점수가 높을수록 당첨 가능성이 커집니다.

가점제의 3대 항목

  • 무주택 기간 (최대 32점)
  • 부양가족 수 (최대 35점)
  • 청약통장 가입 기간 (최대 17점)

각 항목마다 점수를 알아두면 계산기 없이도 내 점수를 간단하게 추정할 수 있습니다.

청약 점수 기준표 – 정확한 기준이 궁금하다면

  • 무주택 기간 (최대 32점)
    - 무주택 기간 1년당 2점
    - 16년 이상 무주택이면 32점 만점
  • 부양가족 수 (최대 35점)
    - 본인 외 주민등록등본상 함께 사는 가족 1명당 5점
    - 최대 6명 이상일 경우 35점
  • 청약통장 가입 기간 (최대 17점)
    - 가입 후 1년마다 1점씩
    - 15년 이상이면 17점 만점

헷갈리지 말자 – 주택청약 통장이란?

여기서 말하는 ‘주택청약’‘주택청약종합저축’이라는 국가공인 금융 상품을 뜻합니다.

이는 국민은행, 농협, 우리은행, 신한은행 등에서 가입 가능한 공식 청약통장이며, 실제 아파트 청약에 사용됩니다.

⚠️ 주의:
‘청약’이라는 단어를 쓰는 유사 금융 상품(예: 민영 청약저축, 적금형 청약, 부동산 펀드 등)실제 청약 점수에 반영되지 않으며, 가점제 대상이 아닙니다.

반드시 이름에 ‘주택청약종합저축’이 명시된 정식 통장에 가입해야 하며, 가입은 은행 방문, 또는 각 은행 앱에서도 가능합니다.



간단한 점수 계산 예시로 감 잡기

예를 들어 35세 직장인 A씨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 무주택 기간: 만 8년 (22점)
  • 부양가족: 배우자, 자녀 2명 (3명 → 30점)
  • 청약통장 가입 기간: 11년 (15점)

→ 총 가점: 22 + 30 + 15 = 67점

이 정도 점수면 최근 수도권 청약에서는 경쟁력이 꽤 높은 편에 속합니다. 가점 커트라인이 60점 중후반대에서 형성되는 단지들이 늘고 있기 때문입니다.



자주 헷갈리는 가점 항목 Q&A

Q1. 부양가족에 부모님도 포함되나요?
→ 네, 주민등록상 세대원으로 함께 거주 중이고, 실제 부양하고 있다면 포함됩니다.

Q2. 자녀가 성인이어도 포함되나요?
→ 만 30세 미만 미혼 자녀라면 가능합니다. 단, 별도 세대로 분리되어 있으면 인정되지 않습니다.

Q3. 청약통장을 중간에 바꾸면 가입 기간이 끊기나요?
→ 동일 명의로 전환한 경우(예: 청년우대 → 주택청약종합저축)는 기간이 이어집니다. 하지만 신규 가입은 새로 계산됩니다.



오해와 진실 – 가점제에 대한 흔한 착각

오해 1: 무조건 점수 높으면 당첨된다?
→ 그렇지 않습니다. 1순위 내에서도 경쟁률이 높다면 동일 점수자끼리 추첨이 진행됩니다.

오해 2: 부양가족은 많을수록 무조건 좋다?
→ 점수 상으로는 유리하지만, 실제 양육 부담이나 부양 여건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청약만 보고 무리하게 조건을 맞추는 건 위험합니다.

오해 3: 계산기는 꼭 써야 한다?
→ 아니요! 지금처럼 항목별 점수를 대략 알면, 자신이 유리한지 아닌지 판단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가점제 이해를 돕는 체크리스트

  • 무주택 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1년에 2점씩, 최대 32점)
  • 주민등록상 부양가족 수는? (1명당 5점, 본인 제외)
  • 청약통장 가입 기간은 몇 년인가요? (1년에 1점씩, 17점까지)

이 3가지만 기억해도 대략적인 점수 계산이 가능합니다.



실행 가이드 – 내 청약 전략 세우기

  1. 자신의 점수를 체크리스트로 계산해보기
  2. 최근 청약 당첨 커트라인 확인 (LH, SH, 청약홈 참고)
  3. 경쟁률 낮은 지역이나 공공분양 단지도 고려해보기
  4. 예비 청약자는 청약통장 꾸준히 유지 + 무주택 상태 유지
  5. 부양가족 수 조정 가능 시기 체크 (출산 예정, 전입 등)


주택청약 가점제는 어렵게만 느껴질 수 있지만, 알고 보면 단순한 구조입니다.
계산기를 켜지 않아도 항목별 최대 점수와 기준을 기억하고 있으면,
내 점수가 당첨 가능성 있는 수준인지 대략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점수가 낮다고 포기하지 않는 것입니다.
공공분양이나 추첨제 비율이 높은 단지를 함께 고려하고,
장기적으로 점수를 올릴 수 있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청약은 단순한 숫자 싸움이 아니라,
내 상황에 맞는 방향을 꾸준히 만들어가는 것이 핵심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