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식품안전인 게시물 표시

곰팡이 핀 음식, 도려내면 괜찮을까? 천식·간암까지 부를 수 있는 '숨은 독소'의 진실

이미지
1. 냉장고 속 ‘곰팡이 음식’, 여러분은 어떻게 하시나요? 빵에 푸른 점이 하나 보이거나, 귤 껍질에 하얀 곰팡이가 피어 있으면 보통 망설이게됩니다. '이 정도면 괜찮지 않을까?' 하면서 곰팡이 부분만 떼어내고 먹는 경우도 있죠. 하지만 식품안전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말합니다. '보이는 곰팡이는 빙산의 일각일 뿐, 눈에 안 보이는 뿌리가 이미 퍼져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 곰팡이는 왜 위험할까? 곰팡이는 겉으로 보이는 솜털 같은 부분 외에도, ‘히파(hyphae)’라는 가느다란 실 모양의 뿌리 구조 를 음식 속 깊숙이 뻗습니다. 수분이 많고 부드러운 과일, 빵, 조리음식 등은 이 균사가 퍼지기 쉬운 환경이죠. 미국 USDA 와 FDA 가이드라인에서도 '부드러운 식품은 곰팡이가 보이면 전량 폐기' 를 원칙으로 합니다. 곰팡이 독소는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3. 곰팡이를 먹으면 어떤 일이 생길까? 곰팡이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표적으로 두 가지 경로가 있습니다. ① 흡입 노출:   공기 중 스포어(포자)를 들이마셔 천식 또는 알레르기 반응 유발. → 기침, 재채기, 쌕쌕거림 등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② 섭취 노출:   일부 곰팡이는 ‘아플라톡신’ 같은 독소를 만듭니다. → 이는 WHO 가 정한 1급 발암물질 로, 장기 노출 시 간세포 손상 및 간암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귤이나 빵을 한두 입 먹었다고 곧바로 질병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문제는 '조금씩 여러 번 먹는 습관' 이 될 때 누적 노출이 일어난다는 점입니다. 곰팡이로부터 안전한 식품 관리 확인해보세요! 4. 도려내면 되는 음식 vs 무조건 버려야 하는 음식 곰팡이 발견 시 식품별 대처 기준 (USDA 공식 권고) 구분 예시 음식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