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장거리 전용차로인 게시물 표시

한국 최초 ‘장거리 전용차로’, 고속도로 정체 줄일 시범 도입... 운전자가 꼭 알아둘 변화

이미지
주말이나 연휴만 되면 고속도로를 달리던 내비게이션 예상 도착 시간이 점점 늘어나는 경험, 누구나 해보셨을 겁니다. 특히 경부고속도로처럼 차량 통행량이 많은 구간은 아침 일찍 출발해도 소용이 없을 때가 많죠. 정부가 이런 상습 정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실험을 시작합니다. 이름하여 ‘장거리 전용차로’ . 1. 왜 고속도로는 막힐 수밖에 없을까? 사실 차가 많아서 막히는 건 당연합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한국 고속도로 정체의 원인이 구조적 특성 에 있다고 말합니다. 나들목(IC) 간격이 짧음 → 차량 진출입이 잦아 교통 흐름이 끊김 얌체 끼어들기 → 빠져나가기 직전 갑자기 차선 변경 → 연쇄 브레이크 → 정체 심화 1차로 정속 주행 → 추월 기능을 상실해 전체 흐름 저하 즉, 단순히 차량이 많아서가 아니라 차선 활용 방식 이 비효율적이라는 것이죠. 2. 장거리 전용차로란 무엇인가? 그럼 정부가 내놓은 해결책, 장거리 전용차로 는 어떤 개념일까요? 쉽게 말하면, 쭉 직진할 차량은 왼쪽 차로 , 곧 나들목으로 빠질 차량은 오른쪽 차로 를 사용하게 하는 제도입니다. 시범 운영 구간 : 경부고속도로 판교IC ~ 양재IC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판교JC ~ 송파IC 운영 방식 : 3차로 이상 구간에서 1~2차로는 ‘장거리 전용차로’, 3~4차로는 ‘단거리·진출입 전용차로’로 지정 중앙 분리대나 실선 표시로 얌체 차선 변경 차단 도입 시점 : 2025년 10월 시범 운영 → 2년간 효과 검증 후 확대 여부 결정 즉, 운전자 입장에서는 '내가 장거리 주행자인지, 단거리 주행자인지' 먼저 판단하고 진입 차로를 선택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장거리 전용차로' 보도자료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