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지하철 화재 대처인 게시물 표시

서울 지하철 방화 사건, 승객 대처법과 정부 안전 지침은?

이미지
서울 한복판에서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2025년 5월 31일,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나루역과 마포역 사이 열차 안에서 한 60대 남성이 휘발유를 뿌리고 불을 질렀습니다. 400여 명의 승객이 혼란 속에서 대피했고, 21명이 연기 흡입 등으로 병원에 실려 갔습니다. 다행히 대형 참사로 번지지는 않았지만, 많은 시민들은 '이런 일이 나에게도 닥치면 어떻게 해야 하지?' 라는 불안감을 느꼈습니다. 대구 지하철 참사(2003년) 이후, 안전 대책은 강화되었지만, 예상치 못한 사고에 대비한 시민들의 대처 능력은 여전히 중요합니다. 지금부터 지하철 화재 발생 시 승객의 행동 요령과 정부의 공식 안전 지침 을 꼼꼼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지하철 화재 발생 시 시민 대처 요령 지하철 화재는 순간의 판단과 행동이 생명을 좌우합니다. 정부와 서울교통공사에서 안내하는 안전 지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행동이 필수적입니다. 1️⃣ 화재를 인지했을 때, 즉시 행동해야 합니다. 비상버튼 누르기 : 객차 내 비상벨(노약자·장애인석 옆)로 승무원에게 알립니다. 초기 진화 시도 : 안전할 경우, 비치된 소화기로 불길을 억제합니다. 출입문 수동 개방 : 출입문이 열리지 않으면 반드시 수동 레버를 먼저 사용 하여 문을 열어야 합니다. 수동 레버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만 최후의 수단으로 망치나 소화기로 유리창을 깨고 탈출합니다. (유리창 파손은 부상 위험이 있으므로 꼭 마지막 단계에서만 선택하세요.) 스크린도어 개방법 : 스크린도어의 빨간색 바를 밀어 열고 대피합니다. 호흡기 보호 : 연기 흡입 방지를 위해 옷이나 수건으로 코와 입을 막고 이동합니다. 정전 시 대피 : 유도등을 따라 이동하며, 벽면을 짚고 천천히 이동합니다. 터널 내 대피 : 출입문이 열리지 않으면 가능한 한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 으로 벽을 따라 이동합니다. (후속 열차 진입 및 연기 확산을 고려한 기본 원칙이지만, 상황에 따라 안전 방송과 현장 상황을 우선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