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산 초콜릿·젤리, 반입하면 처벌? 대마 성분 포함 제품 구별법 지금 확인하세요

해외여행을 다녀온 지인에게 초콜릿 선물을 받았는데, 갑자기 공항에서 세관에 불려간다면 어떤 기분일까요? '설마 초콜릿 하나 때문에 처벌받겠어?' 이 질문, 이제는 농담이 아닙니다. 실제로 관세청은 대마 성분이 포함된 해외 기념품 형태의 간식류 를 반입한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고, 심지어 모르고 산 제품 이라도 처벌 대상 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젤리, 초콜릿, 오일, 화장품까지 대마 유래 성분이 첨가된 다양한 제품이 유통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해외에서 주의해야 할 대표 제품은? 해외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간식이나 기념품 중 일부는 마약류관리법 위반 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제품들은 절대 주의가 필요합니다. ● 젤리·초콜릿·쿠키 등 기호용 식품 - 미국, 캐나다, 태국, 일부 유럽 국가 등에서는 대마 성분이 포함된 식품을 합법적으로 판매합니다. - 패키지엔 ‘Hemp’, ‘CBD’, ‘THC’ 등 문구가 적혀 있거나 대마 잎 그림 이 그려져 있을 수 있습니다. - 포장만 보면 일반 간식과 다르지 않아 실수로 구매하기 쉽습니다 . ⚠️ 주의: 국내에선 이런 제품을 반입하는 것 자체가 불법이며, 양에 상관없이 징역 또는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 음료·오일·스킨케어 화장품 - ‘CBD Infused’라는 문구가 있는 음료나 오일, 마사지용 크림도 모두 포함됩니다. - ‘자연 성분’, ‘진정 효과’ 등으로 포장된 제품이라도 대마 유래 성분 이 포함되면 처벌 대상 입니다. ● 양귀비 씨앗·시즈닝 제품 - 미국의 인기 시즈닝 ‘Everything But the Bagel’처럼 양귀비 씨앗이 포함된 제품 도 국내에서는 반입이 금지됩니다. - 이유는 씨앗에 따라 미량의 오피에이트 성분 이 검출될 수 있어 마약 원료 로 취급되기 때문입니다. ● 면세점·선물용 포장 제품도 예외 없음 - 면세점에서 구매했더라도 성분에 문제가 있다면 처벌 대상 입니다. - '선물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