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임대주택 신청, 놓치면 후회! LH 매입 임대 자격·일정·접수처 정리

1. LH 매입임대주택이란? 정부가 직접 주택을 매입한 뒤, 소득 수준이 낮거나 주거 지원이 필요한 국민에게 장기 임대로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 유형 중 하나입니다. 2025년 현재, LH(한국토지주택공사)를 통해 공급되는 매입임대주택은 대상자의 특성과 생애 주기별 필요에 따라 세분화되고 있습니다. ◾️매입임대주택의 기본 구조 정부가 기존 주택을 매입하거나 신축 후 임대 임대료는 시세의 30~90% 수준까지 다양 청년, 신혼부부, 고령자, 다자녀 가구 등 맞춤형 공급 유형 존재 최장 20년까지 장기 거주 가능 📌 정부 지원 주거복지 정책 중에서도, 매입임대주택은 월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입니다 . 특히 전세금 마련이 어려운 청년, 사회 초년생에게는 전세자금대출 없이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주거 사다리 역할을 합니다. ◾️전세형 공공임대 ‘든든전세’란? LH가 최근 신설한 ‘든든전세’는 전세금 부담은 낮추고, 거주는 안정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공공임대주택입니다. 시세의 90% 이하 전세금으로 입주할 수 있으며, 최소 6년 이상 거주가 가능합니다. 든든전세는 장기 전세임대로, 안정적 거주에 초점이 맞춰진 제도입니다. 2. 2025년 LH 매입임대 최신 공고 총정리 2025년 6월 26일 기준, LH는 청년형, 신혼·신생아형, 고령자형 매입임대주택을 전국 4943호 규모로 2차 공급 한다고 밝혔습니다. 신청은 2025년 7월 7일부터 9일까지 , LH 청약센터 온라인 접수 를 통해 진행됩니다. ◾️청년 매입임대주택 신청 일정과 공급 지역 공급 물량: 2508호 신청 기간: 2025년 7월 7일(월) ~ 9일(수) 공급 지역: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포함 전국 임대료: 시세의 40~50% 입주 대상: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 미혼 무주택자, 소득·자산 기준 충족 시 가능 거주 기간: 최초 2년 계약 + 재계약 4회(최장 10년) ...